한 해,
어떤 활동을 해서 소득이 생기면
소득세 (Income Tax) 를 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국세청 (IRS) 과
본인이 거주 하고 있는 주 (State) 에 각각 세금을 보고하고
소득과 세율 (Tax Rate) 에 맞게 계산된 세금 (Tax) 을 냅니다.
지난 번 포스팅에서 말씀 드렸듯이
미국의 소득세는 누진세 (Progressive Tax) 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https://mortgageusa.tistory.com/76
세율 (Tax rate) 에 관한 오해 – 소득 $100 차이로 세율 10% 가 달라진다?
개인들의 소득세 (Income Tax) 는 누진률로 계산이 됩니다. 소득이 올라가는 만큼 세율 또한 올라간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Marital Status 라는 결혼의 유무에 따라
mortgageusa.tistory.com
소득이 많아질수록 세율도 같이 올라간다는 의미입니다.
위의 지도에서 볼 수 있듯이
붉은 색깔이 점점 진해질수록 세율 (Tax Rate) 이 높아 집니다.
한국 분들이 가장 많이 거주 하고 있는 주 (State) 인
캘리포니아 (CA) 의 최대 세율은 10%가 넘어갑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주 (CA) 에 있는 소득이 높으신 분의 경우
국세청 (IRS) 에 내는 세율 37% 더하기 주 (State) 세 13% 를 하면 50% 로
한 해 번 소득의 반을 세금 (Tax) 으로 내는 것입니다.
몇 달 전,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가
캘리포니아 (CA) 에서 텍사스 (TX) 주로 이주한다는 뉴스가 보도된 적이 있었습니다.
텍사스 (TX) 는 대표적으로 주 (State) 소득세가 없는 곳입니다.
일론 머스크 CEO 가 아낄 수 있는 세금이
$2 Billion (한화로 2조가 넘는) 이라고 하니
어쩌면 당연히 이 주 (State) 를 선택했어야 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텍사스 (TX) 를 포함해서
미국의 50개 주 (State) 중에 소득세가 없는 곳은 총 9개 주 (State) 입니다.
AK (알래스카), FL (플로리다), NH (뉴 햄셔) , NV (네바다),
SD (사우스 다코다), TN (테네시), TX (텍사스), WA (워싱턴), WY (와이오밍)
이 중 플로리다 (FL), 텍사스 (TX), 라스 베가스가 있는 네바다 (NV) 주는
한국 분들에게도 어느 정도 익숙한 주 (State) 입니다.
소득세 (Income Tax) 가 없는 곳은
재산세 (Property Tax) 나 거래세 (Sales Tax) 등이 비싸기도 합니다.
주 (State) 정부 입장에서는 부족한 세수를 다른 부분에서
메워 나가야 주 (State) 재정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득세 (Income Tax) 때문에 이주를 결심할 수는 없겠지만
이사 혹은 이주를 결정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은 분명합니다.
미국은 주 (State) 에 대한 자치권을 많이 인정 합니다.
주 (State) 마다 특색이 있기 때문이죠.
미국 국세청 (IRS) 에 내야 되는 세금을 바꿀 수는 없지만
본인이 거주 하고 있는 주 (State) 에서 어떤 세금 혜택을 주는지
혹은 어떤 것들이 불리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
* 본 글은 일반적인 세무 관련 내용이므로 자세한 사항은 전문가와 상의하셔야 합니다 *
Alex Yoon (알렉스 윤) 미국 세금 & 융자 전문인
econalex101@gmail.com
'미국 세금 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규모 비즈니스를 운영한다면 고려해야 할 회사 형태 – S Corporation 미국 회사 설립 - S Corporation 장, 단점 (0) | 2022.08.05 |
---|---|
미국에서 사업 시작 하기 – 혹시 LLC 라는 회사를 들어보셨나요 (0) | 2022.07.25 |
세율 (Tax rate) 에 관한 오해 – 소득 $100 차이로 세율 10% 가 달라진다? (0) | 2022.07.13 |
비즈니스용 Meal & Entertainment (식대 & 접대비) 는 얼마까지 공제 받을 수 있을까? (0) | 2022.07.04 |
2022년 업무용 차량 세금 공제 받을 수 있는 마일리지 당 금액은? (0) | 2022.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