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번 포스팅에서 미국이
경기침체 (Recession) 의 국면에 들어가는 것이 아닌가에 대해서 말씀 드렸습니다.
https://mortgageusa.tistory.com/74
미국은 경기 침체 (Recession) 국면으로 들어가는 중?
최근 애틀란타 연준 (Fed) 에서 2022년 2분기 예상 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를 발표하였습니다. 국내 총 생산 (가계소비 + 기업투자 + 정부지출 + 순수출) 이라는 수치를 집계하고 결과를 발표하는데
mortgageusa.tistory.com
최근 애틀란타 연준 (Fed) 에서 발표한
2022년 2분기 GDP (국내 총생산) 가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 되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GDP 가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 되면 경기침체 (Recession) 라고 합니다.
성장이 둔화되고 고용 (Employement) 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이번 6월달
미국의 실업률 (Unemployment Rate) 발표를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미국은 매달 첫 번째 주 금요일에 전달 실업률을 발표 합니다.
미국 시각으로 지난 주 금요일 (7/8) 에 6월 실업률이 발표 되었습니다.
6월 중순 Fed 의 0.75% 자이언트 스텝 금리인상 발표 이후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입은 Industry 의 여러 회사들이 정리해고 (Layoff) 를 발표했기 때문에
이번 실업률의 발표는 각 산업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측 되었습니다.
월가에서는 지난 달 (5월) 과 비슷한 고용 수준을 예측하기는 했지만
이 예상치 보다 높은 실업률이 나온다면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 (Recession) 국면으로 들어간다는 주장에 힘이 실어질 것으로 보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주목했던 6월 실업률이 발표되었고,
다행히 결과는 예상치와 부합하였습니다.
3.6% 의 실업률이라면 코로나 팬더믹 이전과도 거의 같은 수준이며
완전 고용이 이루어진다고 해석하는 범위 입니다.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회사들도 꾸준히 많은 사람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6월 고용도 눈에 띄게 줄었다고 보기는 힘든 것 같습니다.
이번주 수요일 (7/13) 에는
6월 소비자 물가 지수 (CPI - Consumer Price Index) 가 발표 됩니다.
현재 나오는 뉴스들을 보았을 때 8% 가 넘는 물가 상승의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물가를 잡겠다고 여러 번 밝힌 미국의 중앙은행 연준 (Fed) 의
다음 번 스텝 의사 결정의 중요한 지표가 될 것입니다.
경기 침체 (Recession) 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실업률 (Unemployment rate) 이 꺾이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자이언트 스텝이라고 부르는 0.75% 인상이 예측되고 있습니다.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준 (Fed) 의 FOMC 미팅이 2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6월 중순의 FOMC 미팅 이후 여러 시장에서 가격이 떨어진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경기가 침체 (Recession) 의 국면에 들어가지 않고 물가가 내려온다면
지금 미국 경제에서 가장 좋은 소식이 아닐까 싶습니다.
단기간에 올라간 물가가 여러 경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컸던 만큼
다가오는 주요 지표들의 발표와 7월 마지막 주에는 있는
미국 연준 (Fed) 의 FOMC 미팅의 결과를 주시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lex Yoon (알렉스 윤) 미국 세금 & 융자 전문인
econalex101@gmail.com
'미국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중앙은행 7월 FOMC 미팅과 2분기 GDP (1차) 발표 - 7월 마지막 주 이벤트는 컸다! (0) | 2022.07.29 |
---|---|
2022년 2분기 실적발표 – 생각보다 괜찮다! (0) | 2022.07.20 |
미국은 경기 침체 (Recession) 국면으로 들어가는 중? (0) | 2022.07.08 |
수요도 줄고 원유값도 내렸다. 하지만, 왜 기름 값은 많이 오를까? (0) | 2022.07.01 |
기름 값 (Gas Price) 의 상승 – 바이든 대통령의 새로운 카드는? (0) | 2022.06.22 |
댓글